맨위로가기

제1기갑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기갑여단은 1968년 4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예하의 기갑여단이다. 3개의 전차대대, 2개의 기계화보병대대, 2개의 자주포병대대 등을 포함한 8개의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부전선 "철의 삼각지대"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과거에는 제1전차대대, 제25전차대대 등이 예속되어 있었으나, 부대 개편을 통해 현재의 편제를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기갑여단 - 제102기갑여단 (대한민국)
    제102기갑여단은 1988년 제102보병여단으로 창설되어 2007년 기갑여단으로 재편성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갑 부대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되었고 국방개혁 2020의 첫 번째 시행 대상 부대였으며 현재 전차대대, 기계화보병대대, 포병대대 등을 예하에 두고 영동 지방에서 재해 구조 활동도 수행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갑여단 - 제20기갑여단
    제20기갑여단은 1946년 조선경비대 제4보병연대로 창설되어 여러 번의 개편을 거쳐 2019년 기갑여단으로 재편되었으며, 과거 여수·순천 사건과 6.25 전쟁에 참전했고 현재는 제3군단 소속으로 전차대대, 포병대대, 기계화보병대대 등을 예하에 두고 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은 1948년에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서 춘천 방어 전투를 비롯한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큰 전공을 세웠으며, 휴전 이후 휴전선 중부 지역 경계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여러 여단과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7보병여단
    제7보병여단은 1946년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부대로, 한국 전쟁 때 유엔군 최초로 압록강에 도달했으며 2020년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 포천시 소재의 관공서 - 국군포천병원
    국군포천병원은 내과, 외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다양한 진료 과목과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과 등 치과 진료를 제공하는 군 병원이다.
  • 포천시 소재의 관공서 - 제5군단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은 4개의 상비사단과 5개의 여단,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 최초로 창설된 기갑, 정보, 특공, 통신 부대를 예하에 두고 지상작전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
제1기갑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명제1기갑여단
원어 이름第一機甲旅團
영어 이름1st Armored Brigade
부대 휘장
창설일1968년 4월 1일
병과기갑
역할지역 방어 및 역습 부대
규모여단
명령 체계제5군단
본부경기도 포천시
별칭전격부대 (電擊部隊)
표어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기갑여단!
추가 표어1기갑여단이여 기동하라 결정적 순간까지!
현재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Brigadier General (OF-6).svg|30px]] 준장 이영규
역대 지휘관초대 여단장 손장래 예비역 소장
recruitment1st Armored Brigade recruitment

2. 연혁

1968년 4월 1일, 국군 최초의 전차대대를 통합하여 제1기갑여단이 창설되었다. 1971년 10월 4일 제1군단에 배속되었으나, 1972년 10월 13일 제5군단으로 예속 전환되었다. 여단 예하의 제1전차대대는 군일명 제24호에 의하여 제2군단 독립 전차대대로서 예속전환되었다.[1] 1994년에는 제25전차대대가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76기계화보병여단으로 예속전환되었으나, 2018년 11월 30일 8사단과 26사단의 통합 과정에서 76기보여단 해체와 함께 대대도 해체되었다.[1] 이후 여단에는 제105 기계화보병대대와 제628 자주포병대대가 증편되었고, 2018년에 다시 제19 전차대대와 제138 기계화보병대대가 증편되면서 현재의 편제를 구성하게 되었다.[1]

창설 당시에는 경기도 가평군에 주둔하였으나, 1972년 10월 1일 경기도 포천시로 1차 부대이동을 실시하였고, 1977년 5월 27일 현재 위치로 2차 부대이동을 실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1]

제1기갑여단 사령부 부지로 사용하는 곳은 주한미군 제7보병사단 제1여단 사령부 캠프 카이저가 사용하던 곳으로, 캠프 카이저가 철수하면서 부지를 제1기갑여단에게 1977년 5월 25일 인수·인계하게 되었다.[1]

제5군단 소속이었던 제8기계화보병사단이 기계화부대로 개편되기 전까지, 군단 유일의 기계화보병대대를 보유한 부대였다. 현재 제8기계화보병사단이 제7기동군단으로 예속전환되었고 제26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하여 경기도 양주시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다시 군단 내에서 유일하게 기계화보병대대를 보유한 부대가 되었다.[1]

현재 제1기갑여단은 최전방의 제6보병사단, 제3보병사단, 육군 최강의 화력을 자랑하는 제5포병여단과 함께 중부전선의 심장부 "철의 삼각지대" 철원을 방어하는 제5군단의 주력 부대이며 군단 유일의 기갑여단이다.[1]

3. 부대 구성

제1기갑여단은 3개 전차대대, 2개 기계화보병대대, 2개 자주포병대대(영내 3개 대대, 영외 4개 대대), 그리고 8개 직할대(영내)로 편제되어 있다. 그 외 2개 동원사단의 전차대대를 지원받아 영내에 주둔시키고 있다.[4]


  • 본부 중대
  • 방공포대 (K30)
  • 기갑 공병 중대
  • 화생방 중대
  • 기갑 수색 중대 (K1E1, K200)
  • 통신 중대
  • 지원 중대
  • 정보 중대
  • 제5 기갑대대 (K1E1)
  • 제15 기갑대대 (K1E1)
  • 제19 기갑대대 (K1E1)
  • 제105 기계화 보병대대 (K200A1)
  • 제138 기계화 보병대대 (K200A1)
  • 제628 포병대대 (K55A1)
  • 제888 포병대대 (K9A1)

3. 1. 예하 부대

제1기갑여단은 3개 전차대대, 2개 기계화보병대대, 2개 자주포병대대(영내 3개 대대, 영외 4개 대대), 그리고 8개 직할대(영내 - 공병대, 방공대 등)로 편제되어 있다. 그 외 2개 동원사단의 전차대대를 지원받아 영내에 주둔시키고 있다.

  • 전차대대
  • 제5전차대대 (사자대대) - 창설 원년 대대, 국군 최초의 전차대대 (1954년 2월 21일 창설)
  • 제15전차대대 (투우대대) - 창설 원년 대대
  • 제19전차대대 (백호대대) - 2018년 9월 1일부로 제1기갑여단으로 예속전환 (前수도방위사령부 직할, 前8기계화보병사단 16기계화보병여단)
  • 기계화보병대대
  • 제105기계화보병대대 (진격대대) - 5군단 최초의 기계화보병대대
  • 제138기계화보병대대 (각흘대대) - 2018년 9월 1일부로 제1기갑여단으로 예속전환 (前8기계화보병사단 2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대대
  • 제628포병대대 (천둥대대) - 베트남 전쟁에 맹호부대 소속으로 참전 (前수도사단 맹호부대)
  • 제888포병대대 (번개대대) - 전군 최초 K9A1 보유부대 (前5포병여단 예하 5포병단)
  • 직할대[4]
  • 본부 중대
  • 방공포대 (K30)
  • 기갑 공병 중대
  • 화생방 중대
  • 기갑 수색 중대 (K1E1, K200)
  • 통신 중대
  • 지원 중대
  • 정보 중대

  • 장비

구분종류비고
전차K1E1제5, 15, 19 기갑대대
장갑차K200A1제105, 138 기계화보병대대
자주포K55A1제628 포병대대
자주포K9A1제888 포병대대


3. 2. 직할대


  • 여단 본부대
  • 공병대 - 1968년 4월 11일에 창설된 국군 최초의 기갑공병부대이다.
  • 방공대
  • 정보중대
  • 화생방중대
  • 기갑수색중대
  • 정보통신중대
  • 여단본부근무대
  • 전투근무지원대대(정비중대, 보수중대, 의무중대) - 2018년 11월 29일에 창설된 육군 최초의 전투근무지원대대이다.[4]

3. 3. 지원 부대


  • 제75보병사단 직할 전차대대 - 여단 주둔지 영내[4]
  • 제73보병사단 직할 전차대대 - 제19전차대대 주둔지 영내[4]
  • 본부 중대[4]
  • 방공포대 (K30)[4]
  • 기갑 공병 중대[4]
  • 화생방 중대[4]
  • 기갑 수색 중대 (K1E1, K200)[4]
  • 통신 중대[4]
  • 지원 중대[4]
  • 정보 중대[4]

4. 과거 예하 부대


  • 제1전차대대 - 제2군단 직할 전차대대였다가 1972년에 예속 전환되었고, 2019년에 제7보병사단 직할 전차대대로 다시 예속 전환되었다.[1]
  • 제25전차대대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예하 제76기계화보병여단으로 1994년에 예속 전환되었으나, 2018년에 제76여단과 함께 해체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1st Armored Brigade recruitment https://www.mma.go.k[...]
[2] 뉴스 육군 1기갑여단 31일부터 3일간 포천·철원서 기동훈련 https://m.yna.co.kr/[...]
[3] 뉴스 1기갑여단, 31일~내달 2일 철원·포천일대서 실기동 훈련 https://www.shinailb[...]
[4] 웹사이트 V ROK Corps https://www.global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